오늘은 부동산 지방 광역시도
조정지역 해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작년 가을, 9월을 기점해
규제가 이뤄지며
장기가 부동산 침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작년은 부동산 가격이
매우 급등하는 시기였습니다.
하지만 올초부터 거래 급감하며
부동산이 식었고,
작년의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게 되었습니다.
오래기간 부동산 침체기에
부동산 하락 안정화가 되었다는 판단하에
정부에서는 지난 7월 일부 지역에 대해
조정지역을 해제 했습니다.
그리고 2개월 후인 현재
추가적인 조정지역 해제를 발표했습니다.
투기 지역이었던 곳 일부는
조정지역으로 한단계
내려오게 되었습니다.
아래 보도자료를 보시겠습니다.
위와 같은 지역은
조정지역으로 한단계 내려오거나
비조정지역으로 해제가 되었는데요.
이에따른 규제는 매우 크고
다르다 할수 있습니다.
일단 주택 담보 최대 한도가
늘어나게 됩니다.
보유 자금이 적다고 하더래도
더 많은 일으켜 집을 매수할수 있게 되는거죠.
또한 소유 주택을 매도 하여도
양도소득세 중과분, 비율이 떨어지게 되어
세금을 덜 낼수 있게 됩니다.
그동안 자금 부족으로 인해
매수를 하지 못했던 사람들을 매수를 할수 있게 되고,
세금이 너무 과중되어 팔지 못하던 사람들도
매도 할 생각을 가질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비조정의 경우 분양권, 중도금등에서
좀 더 자유로워 지기 때문에
부동산 거래가 자유로워진다 볼 수 있습니다.
부동산 침체로 인해
거래가 되지 않으면 정부 역시
세수 조달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거래가 안되는 것도 원하지 않을텐데요.
그렇기에 점차 규제를 풀면서
거래가 이뤄지는 방향으로의
정책을 계속 펴낼 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삿날 할 일은 관리비 공과금 전기 도시가스 수도요금 정산 그리고 검침까지! (1) | 2022.09.23 |
---|---|
3베이 4베이 아파트들의 구조와 장단점을 알아보자 (0) | 2022.09.22 |
일시적 2주택자와 고령자 종부세 완화법 국회 통과 (0) | 2022.09.07 |
부동산 매수 매도 준비서류와 주의할 점 (1) | 2022.09.07 |
HUG 전세보증 가입방법 및 기준 (0) | 2022.09.05 |
댓글